프로젝트 리팩토링 (2) - 도메인 모델 리팩토링
·
Project
이번 포스팅은 올려 올려 라디오 프로젝트의 도메인 모델 개선에 대해 다룹니다.현재 도메인 모델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더 나은 도메인 모델을 제시하면서 그 근거를 정리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앞서, 프로젝트 리팩토링 과정을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 프로젝트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프로젝트 동작 구조답장 서비스 동작 구조위 그림은 우리 프로젝트의 첫 번째 MVP인 `답장 서비스`가 동작하는 구조입니다.유저가 `편지`를 써서 전달하면 생성형 AI가 `답장`을 생성해 응답합니다.우리 프로젝트는 유저가 작성한 `편지`와 `답장`을 각각 별개의 엔티티로 관리합니다.두 엔티티 간 관계는 1:1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데일리 리포트 서비스 동작 구조우리 프로젝트의 두 번째 MVP인 `데일리 리포트..
프로젝트 리팩토링 (1) - 객체 지향 설계
·
Project
데이터 주도 설계에서 책임 주도 설계로프로젝트를 유지보수하고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 때마다 `데이터 주도 설계`를 해오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해커톤 기간은 10일만 주어졌고, 이 기간 동안 개발하던 프로젝트가 한 번 엎어져 남은 기간이 6일밖에 안 됐던지라 객체 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고려하지 못한 채 개발을 이어나갔습니다. 해커톤 종료 후 고도화 기간 동안 설계를 재점검하지 않고 유지보수와 새 기능들을 개발했는데, 코드를 읽을 때마다 여기저기 중복된 코드와 제각기 다른 구현 방식 때문에 코드 읽기가 힘들었습니다.원인은 객체의 행동이 아닌 상태에 초점을 둔 데이터 주도 설계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문제 해결을 위해 조영호 님의 오브젝트를 다시 읽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책임 주도 설계`..
Java Memory Model(JMM)과 동시성 규칙
·
Java
Java Memory ModelJava Memory Model(JMM)은 JVM 내에서 메모리에 데이터를 읽고(read) 쓸 때(write)의 규칙을 말한다.JMM는 메모리를 두 가지의 공간 개념으로 다룬다.하나는 스레드 간 공유되는 메모리로,다른 하나는 스레드 내에서만 사용되는 메모리로 다룬다.JVM에서 스레드 간 공유되는 영역은 Heap(Method Area도 포함)이다.스레드 내에서만 사용되는 영역은 JVM Stack이다. (JVM Stack 내의 Stack Frame들을 아우르는 스택 영역이라 생각하자.) 메모리 모델의 이해를 위해 쉬운 예시를 들어보자 가정Heap에는 `Object 1` 객체와 `Object 2` 객체가 들어있다.메서드 내용은 primitive 타입인 int 변수를 생성하고, `..
JVM 아키텍처 정리
·
Java
JVM(Java Virtual Machine), JMM(Java Memory Model) 관련 글들을 읽다가 "논리적인 개념"과 그 개념을 구현한 "구현체"를 헷갈려했다. 이 글을 통해 JVM 아키텍처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 보자.JVM 명세To implement the Java Virtual Machine correctly, you need only be able to read the class file format and correctly perform the operations specified therein. Implementation details that are not part of the Java Virtual Machine's specification would unnecessarily co..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이벤트 기반으로 비즈니스 로직의 원자성 확보하기 (2)
·
Project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코드로 구현하는 과정을 담았습니다.구현 목표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MSA로 전환하는 작업의 초석이 되도록 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추기외부 API 호출 응답을 받으면 이벤트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춥니다.`편지 서비스`는 `처리율 제한기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하고, 편지를 저장하는 책임만 집니다.`답장 서비스`는 `외부 API 호출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해 트랜잭션에서 분리하고, 답장을 저장하는 책임만 집니다.다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직은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상위 계층에서 편지와 답장을 저장하도록 설계합니다. ⇒ 이벤트 발행의 주체를 퍼사드 서비스로 구현합니다.이벤트에 상태(Status)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Spr..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이벤트 기반으로 비즈니스 로직의 원자성 확보하기 (1)
·
Project
이 포스팅에서는 프로젝트에서 기존 비즈니스 로직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Spring Events를 활용해 비즈니스 로직을 원자적으로 처리하는 내용을 다룹니다. 제목에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붙인 이유는 MVP 개발부터 채택한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변경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현재 서비스 규모가 작고, 이용자 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오버 엔지니어링을 하지 않고 개선해 보겠습니다.문제의 발단: 클로바 스튜디오 서비스의 장애1월 13일 오후 9시 45분경 클로바 스튜디오에 장애가 발생했습니다.우리 서비스의 첫 MVP였던 달토의 답장 서비스는 클로바 스튜디오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팀에서는 10시 30분이 지나서야 장애 발생을 인지했습니다. 문제 발단은 클로바 스튜..
Spring Event Deep Dive
·
Spring
Spring Event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이벤트(Event) 객체가 있습니다.이 객체는 `ApplicationContext`가 제공하는 기능의 일부인데요, Spring에 내장된 이벤트들을 이용해 특정 상황에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개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Spring Event 동작 원리동작 과정이벤트는 하나의 쓰레드에서 동작합니다. 즉, 동기적으로 동작합니다.한 쓰레드 내부에서 발행자가 이벤트를 발행(publish)하면 수신자가 이벤트를 수신(listen)하여 이벤트를 처리합니다.이벤트 발행자(Event Publisher)a. ApplicationEventPublisher 에서 이벤트를 발행한다.실제로 이벤트를 발행하는 코드를 작성할 땐 `ApplicationEventPub..
루씬(Lucene) 검색 엔진의 구조 (FST, Burst Trie, 역 인덱스)
·
ElasticSearch
ElasticSearch는 아파치 루씬(Apache Lucene)이라는 검색 엔진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분산 환경에서의 고성능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고성능 검색 기능은 루씬(Lucene)의 저수준 API를 조립해 REST API로 제공하는 것인데, 루씬은 어떤 방식을 사용하길래 대용량 데이터를 디스크에서 빨리 읽을 수 있는 걸까? 루씬의 구조를 파악해 보자.사전 지식 1. 역 인덱스역 인덱스는 위의 이미지처럼 Hash Table로 되어있지 않지만 단어(Term)로 문서의 아이디를 찾을 수 있는 자료구조라고 이해하자.사전 지식 2. 루씬은 최소 단위로 세그먼트를 사용한다.루씬(Lucene)은 색인의 최소 단위로 세그먼트(segment)를 사용한다. 다시 세그먼트는 여러 문서(Document)로 되어있는데,..